생활정보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하는 방법 [정부24], 확정일자 기간, 세대주 확인 -잇프피는못참아

Jiw-n blog 2023. 6. 16. 03:59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전입신고 집에서 편하게 하는 법

최신 2023년 6월

[ 정부 24 사이트 이용하기 ]

인터넷, 모바일로 전입신고 하는 방법 [ 정부24 / (구)민원24 ]

 

다들 주민센터(동사무소) 갈 때마다 찾아가는 길도 힘든데 가서 이것저것 챙길 것도 많고 번호표 뽑고 기다리느라 정신없고 지쳤던 경험 다들 있으시죠.
이사할 때 꼭 해야 되는 것 중 하나인 전입신고이지만, 평일에만 하는 주민센터라 방문할 시간이 없거나, 세대주 이기도 세대원이기도, 가족과 합치는 경우, 혼자 독립하는 경우 등 매번 다르다 보니 복잡하고 귀찮은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 집에서 혹은 컴퓨터,휴대폰만 있으면 간편히 신청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공유해드리려고 합니다.
 
저는 독립해서 혼자 지내다 다시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게 되어
세대원(본인) 으로 신청한 경우였어요,
우선 다들 아시겠지만
세대주는 세대의 대표를 뜻합니다. 즉, 집주인(건물주)입니다. 대부분은 세대원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됩니다!
 
 
 

전입신고를 해야 하는 이유

전입신고의 경우 새로운 거주지로 옮겨 전입한 거주지의 읍,면,동 사무소에 전입 사실을 알리는 것이며, 주민등록법에 의해 전입신고는 전입일로부터 14일 이내에 해야 합니다. 전입신고를 늦게 할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미신고 시 과태료 및 불이익 (전월세 신고제)

우선 14일이내에 신고하지 않을 경우 5만 원 이하의 과태료, 30일 이내 미 신고 시에는 5만 원에서 100만 원까지 과태료가 부과되며 거짓 신고 시에는 100만 원 이상의 과태료, 3천만 원 이하의 벌금 또는 3년 이하의 징역형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니 계약 후( 새로운 주소로 이전한 날을 기준) 14일 이전에 꼭 전입신고신청 해야 합니다.
 
 

전입신고 후 확정일자 확인

전입신고 후 확정일자는 평일 기준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후 보통 2시간 이내로 확정이 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혹여나 접수가 오래걸리거나 사이트에서 [미접수]로 확인 될 시에는 신청한 주민센터/동사무소나 정부 24 고객센터[1588-2188 - 2번]에 전화하시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전입신고 후 해당 주민센터,동사무소 연락처 확인 방법 [정부24 서비스 신청내역 ]

주민센터/동사무소 연락처 확인방법 
신청한 정부24사이트 > 오른쪽상단 [민원신청]  > 온라인 신청민원 
*온라인 신청민원 화면에 보이는 연락처가 신청한 주민센터/동사무소의 연락처입니다. 


 

전입신고 방법 , 인터넷 [ 정부 24 사이트 ]

 
 

1. 정부24 사이트 접속 [ 바로가기 아래 링크 ]

https://www.gov.kr/portal/main
 

 

정부서비스 | 정부24

정부의 서비스, 민원, 정책·정보를 통합·제공하는 대한민국 정부 대표포털

www.gov.kr

 
 
 
2. 로그인 [ 간편 인증, 공동/금융인증서 ]

로그인 방법은 간편인증,간편 인증, 인증서, 아이디 등 많지만 개인적으로 간편 인증, 카카오톡 인증하기가 가장 편리했습니다.
카카오톡 다들 있으시죠? [ 카카오톡 지갑 인증서 ] 하나만 등록해 놓으면 관공서 사이트 대부분 로그인이 가능했습니다.
저희 아직 카카오톡이 어려운 저희 부모님과 시댁어르신들의 카카오톡에도 함께 있을 때 지갑인증서 하나 만들어 드리고 쉽게 기억하실 수 있는 비밀번호 6자리만 정해놓으면 그 후론 카톡으로 오는 인증하기 버튼과 비밀번호 6자리만 입력하면 바로 인증 완료돼서 너무 편리하게 사용 중 이랍니다. 추천드리고자 쓴 글은 아니지만, 편리함을 공유해드리고 싶어 작성해 봅니다.
다시 본론으로 들어가 로그인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2-1. 간편 인증 로그인

정부24 로그인 방법 카카오톡 지갑 간편인증

 
2-2. 카카오톡 간편인증 로그인
왼쪽 하단의 카카오톡을 클릭 후 본인인증 정보(이름, 생년월일, 휴대폰번호)를 입력하고 전체동의 클릭 후 인증요청을 해줍니다,

정부24 카카오톡 간편인증

 
2-3. [모바일 카카오톡] 화면으로 들어가서 카카오톡지갑에서 온 채팅화면으로 들어가 [인증완료] 해주면 정부 24 로그인 완료

 
 
 
3. 전입신고신청 바로가기

정부 24 사이트는 정말 주민센터(동사무소), 시청, 구청 갈 필요 없이 거의 대부분의 서류를 발급하고 신고, 신청할 수 있어 저는 너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우선 로그인을 하시면 전입신고를 검색하여 신청할 수 있도록 나와있는데요. 신고하기 전 전입신고에 대해 간단히 설명해 주네요. ' 이 민원(전입신고)은 하나의 세대에 속하는 자와 전원 또는 일부가 거주지를 이동한 때에는 신고의무자가 새로운 거주지에 전입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주소지변경 및 등록을 위한 전입사실을 새로운 거주지 관할기관에게 신고하는 민원사무입니다. '라고 안내되어 있습니다. 블로그 첫 글에 작성한 미 신고과태료와 같이 14일 이내로 신고하라고 설명해 주네요.
 
3-1. 통합검색화면, 사이트 내의 검색창에 [ 전입신고 ] 검색

인터넷으로 전입신고, 주소지이전 신청 하는 법

3-2. 전입신고 화면에서 [신고하기] 클릭

 

 
 
4. 전입신고 작성
전입신고 신청 첫 화면입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시 유의사항이 안내되어 있습니다.
신청/결과 확인 방법, 세대주 확인이 필요한 경우, 온라인 전입신고가 불가능한 경우에 대해 안내되어 있으니 꼭 읽어보시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세대주가 아닌 세대원이 신청하는 경우, 혹은 기존 살고 있는 세대주와 합치는 경우 등은 꼭 세대주 확인 방법 또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1. 전입신고
맨 밑 오른쪽 하단의 유의사항 확인 체크박스 [체크][확인] 클릭
 

4-2. 전입신고 신청인정보 [ 1단계 ]
 
신청인 성함, 신청인 연락처를 입력합니다.
전입하려는 사유를 선택해 줍니다. 각자에게 맡는 해당사항에 체크, 없다면 기타에 체크 후 다음단계 클릭

4-3. 전입신고 이사 전에 살던 곳 정보입력 [ 2단계 ]
첫 번째로 이사 오기 전 ( 이사 전에 살던 곳 )의 시/도 와 시/군/구만 선택 후 주소조회를 클릭하면 기존 살던 곳에 대한 정보가 나옵니다. 두 번째로 이사 가는 사람을 선택해 주세요. 본인(신청인)만 간다면 하나만 선택, 모두 간다면 모두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4-4. 전입신고 이사 온 곳 정보입력 [ 3단계 ]
새로 이사 온 곳의 주소를 검색하고 상세주소까지 꼼꼼히 입력해 줍니다.
다가구 주택여부에도 체크해주고, 다가구 주택인지 아닌지 헷갈리거나 모르시는 경우 [모름]으로 선택하시더라도 아무런 문제가 없고, 해당 동사무소에서 확인해주시니 걱정 없이 선택해 줍니다.
TMI 다가구 주택이란? 
주택으로 쓰이는 건물로 층수가 3개 층 이하이고, 1개 동의 주택으로 쓰는 바닥면적 제외 합계가 660m 2 이하이며, 19세대 이하가 거주할 수 있는 주택을 말합니다.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상 단독주택으로서, 공동주택에 해당하지 않는 주택을 말합니다.

마지막

  • 이사 온 사람끼리 세대 구성(빈집으로 이사) 

체크  후 가장 밑에   [민원신청하기] 클릭하시면 전입신고 인터넷으로 신청하는 방법이 끝이 납니다!
 


 

 

전입신고  마지막 단계,  [ 세대주 확인 ]

 
 

마지막으로

  • 이사 온 곳에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가 있는 경우

에 체크한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세대주확인이 필요합니다.
 
쉽게 말해,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ex) 친구(세대주)가 살고 있는 집으로 이사해 함께 동거하는 경우, 부모님(세대주)의 집/본가로 귀향하는 경우 등
기존에 살고 있는 사람이 있는 집의 세대원으로 들어가는 경우를 말합니다.

두 번째, 이사 온 곳에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가 있는 경우를 체크 시 밑의 세대주 확인 정보 입력란이 나타납니다.기존세대주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의 정보를 입력해 줍니다.
 

기존 세대주 정보 입력 후
의 해당사항을 선택해 주시면 됩니다.
- 이사 온 사람들을 밑으로 모두 이동  ( 기존 세대주 밑으로, 모두 세대원으로 등록하는 것을 말합니다. )- 이사 온 곳에 살고 있던 기존 세대주를 [신청인]님 밑으로 이동 ( 신청인/본인을 세대주로 등록하고 기존세대주 밑 함께 이사 온 사람 모두 세대원으로 등록하는 것을 말합니다.
 
가장 밑에   [민원신청하기] 클릭하시면 전입신고 신청이 끝이 납니다.

 

 

세대원 전입신고 후 [세대주 확인] 하는 방법, 다음 포스팅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re-view01.tistory.com/4

 

세대원 전입신고 후 [미접수] 세대주 확인 방법 [ 정부24,(구)민원24 ]

전입신고 후 세대주 확인 하는 법 2023년 6월 작성 안녕하세요. 오늘은 전입신고 후 [미접수]로 확인되었을 때 그 이유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세대원이 전입신고 접수한 후 세대주 확인 안

re-view01.tistory.com


추가 서비스 신청 : 우편물 주소 이전은 필수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로 연락하지 않아도 이사 온 집으로 알아서 보내주는 아주 편리한 서비스입니다. 이하 초등학교 배정정보 신청, 사회적 배려 대상자를 위한 요금감면 일괄 신청 등은 해당 사항이 있을 시 신청하시면 혜택 받으실 수 있으니 꼼꼼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포스팅을 마치며,
 

어린 시절부터 독립하여 수많은 월세집을 옮겨 다니고, 전셋집을 얻고
알바, 직장부터 사업까지 경험하다 보니 주민센터, 세무서, 구청, 시청 등 열심히 찾아다니고
사무, 행정업무의 경우 자주 하지 않는 일이기에
매번 방법을 모르거나 복잡해서 짜증이 나곤 했었습니다.
하지만, 점점 하나 둘 스킬이 생기면서 편리함을 추구하는 나를 발견하며
저처럼, 정보가 필요하고 첫 시작 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 싶어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ISFP/ISFJ인 저는 너무나도 귀찮음이 심하고, 밖에 나가는 걸 싫어하기에
이 글을 읽는 독자 분들과 함께 집돌이, 집순이가 되고자
블로그 포스팅 / 행정, 세무 업무를 주제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편리한 생활정보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의 제품링크 한번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아요❤️ 구독👍 부탁드려요!

 
 

유용한 정보와 생활의 편리함 공유하고자 개인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작성한 포스팅이며, 정부 24 사이트의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생활의 편리함을 위해 온라인으로 일처리 하다보면 밖에 나가는 일이 줄어들게 됩니다.

저 잇프피는 너무 행복하지만 다들 제 건강에 대해 많이 걱정하시곤 합니다..^^

너무 가만히만 있어도 건강에 해롭다고.. 다들 많이 알고 계시죠?

그래서 저는 허리,손목에 보호대 하나씩 두고 사용 중 인데 손목 받침대 하나로

뻐근함도 많이 없어지고 푹신한 감촉도 너무 좋아 이제 없으면 허전한 정도에요.

손목보호대 종류 너무나도 많은데 저는 저렴이 꿀템으로 사용 중 이에요.

아래 사진링크로 꿀템 구경해보세요!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 받습니다."